출처 : 대한적십자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

 

재발급 가능 헌혈증서

22년 9월 24일 이후부터 발급된 노란색 헌혈증서만 재발급이 가능하며 1회에 한하여 헌혈증서를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혈액원에 이미 기증하거나, 의료기관에 혈액을 무상으로 수혈 받기 위해 기제출한 증서는 재발급 받을 수 없습니다.

 

 

 

재발급 신청절차

 

1. 방문 신청

헌혈의 집 또는 헌혈카페에서 재발급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헌혈증서를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신분증 지참 필요)

 

 

2. 온라인 신청

본인이 헌혈증서를 받은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헌혈증 재발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대한적십자의 경우 혈액관리본부 누리집 홈페이지 또는 헌혈앱 레드커넥트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한마음 혈액원일 경우 한마음 혈액원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이 완료되면 3일 이내 신분증을 지참하여 본인이 직접 헌혈의 집 또는 헌혈카페에 방문해야 재발급된 헌혈증서 수령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 3일 이내 재발급 받지 않으면 다시 신청해야함)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는 암검진, 일반검진, 구강검진, 영유아 검진 항목별로 평가등급이 우수한 병원을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시도군으로 상세하게 분류 검색이 가능해 매우 편리합니다. 아래의 평가등급 높은 검진기관 조회방법을 참조하세요.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his.or.kr/)

 

 

 

② 상단의 메뉴 건강iN > ‘검진기관/병원찾기’를 클릭

 

 

③ 왼쪽 메뉴바의 ‘검진기관 평가정보’ 클릭

 

 

 

④ 찾고자 하는 지역, 검진 종류 등의 조건 등을 입력하여 검색

 

 

 

⑤ 검진기관별로 평가가 우수한 진료항목 표시됨

 - 병원명을 클릭하면 병원 대표번호 및 검진실 직통번호, 주소 등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창원시 홈페이지

 

상병수당이란?

업무와 관련 없는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일을 하지 못할 경우 국가에서 일정기간 동안 소득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가계 소득 상실 우려로 아파도 일을 계속 할 수 밖에 없는 근로자에게 최소한의 소득을 보장하여 개인의 건강권을 도모하고, 사회적으로는 질병의 중증화 최소화를 통해 불필요한 의료비용 발생과 노동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정책입니다. 상병수당 제도는 OECD 38개국 중 한국과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이미 실시하고 있는 정책으로 우리나라는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정책 시행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22년 7월부터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입니다.

 

 

상병수당 지원자격

현재는 시범사업기간이라 아래의 6개 지역에 한하여 시행 중입니다. 대상 지역에 거주하며 취업중이거나 해당 지역 소재 사업장의 근로자(거주지 무관)로서 만 15세 ~ 65세 미만이면 신청 기본 자격이 되며 지역별로 근로활동불가 기준에 부합될 경우 최종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게 됩니다.

 

 

 

 

상병수당 지원자격 Q&A

 

1. 자영업자도 상병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신청 직전 3개월 동안 사업자등록이 유지되어 있어야 하며 직전 3개월의 평균 매출이 191만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현재 시범사업 기간 (22년 7월 ~ 23년 6월) 동안은 3개월 중 1개월 이상 매출이 191만원이면 지원 가능합니다.

 

 

2. 일용직 근로자도 상병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상병으로 근로를 할 수 없게된 초일 포함 직전 1개월 중 10일 이상 고용버험 또는 산재보험에 가입된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3. 질병/부상의 범위의 정확한 기준은 무엇인가요?

업무와 관련 없는 질병 또는 부상일 경우 진단명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검사 또는 수술이력이 있어야 합니다. 단,  성형수술과 같은 질병치료가 아닌 경우, 출산과 관련한 합병증이 아닌 경우 (이 경우는 출산급여 신청가능) 또 단순 증상만 호소하는 경우 (임상적 검사나 수술 시행이 없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4. 상병수당 지원금액과 지원기간이 궁금합니다.

지원 대상이 되면 일 43,960원이 지급됩니다. 다만 지원기간은 현재 시범사업기간이라 정책효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지역별로 상이합니다. 정책모형1의 경기 부천시, 경북 포항시의 경우 대기기간이 7일로 질병으로 8일 연속 근로를 못한 경우에 한하여 일을 못하 기간 최대 90일까지 지원합니다.

 

정책모형2의 서울 종로구, 충남 천안시의 경우 대기간이 14일로 질병으로 15일 연속 근로를 못한 경우에 한하여 일을 못한 기간 최대 120일까지 지원합니다. 두 경우 모두 질병 유형의 제한은 없습니다. 정책모형3의 전남 순천시, 경남 창원시의 경우 질병으로 3일 이상 입원한 경우에만 대상이 되며 이경우 입원기간 및 외래 진료일 수 만큼 최대 90일 까지 지원됩니다.

 

 

5. 지원 제외 대상은 어떤 경우인가요?

공무원 및 국공립학교 교직원, 타 제도 (예, 산재보험, 실업급여 등) 중복수급자, 자동차보험 수급자, 질병 휴직이 아닌 휴직자, 건강보험 급여 정지자는 제외됩니다.

 

 

6. 지원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반드시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상병수당 신청용 진단서를 발급 받아 본인 또는 대리인이 홈페이지 신청, 건강보험공단 관할 지사 방문 신청, 우편 또는 팩스 신청하시면 됩니다. 상병수당 진단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 신청해야 합니다.

 

 

 

 

 

 

 

발달재활서비스란?

장애아동 지원법 제 21조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성장기 장애아동의 발달재활을 돕기 위해 바우처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발달재활서비스 대상에 선정된 가구는 정부지원금 월 최대 22만원을 바우처 (포인트)를 받게 되고 시군구에서 지정한 사설치료실을 포함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사용을 할 수 있다. 발달재활서비스 사업에 지정되는 기관은 언어, 청능, 미술심리재활, 음악재활, 행동, 놀이심리, 재활심리, 감각발달재활, 운동발달재활, 심리운동 등의 발달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어야 하며, 의료행위인 물리치료, 작업치료 등을 행하는 의료지원은 발달재활서비스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선정기준

발달재활서비스 선정 기준은 ① 만 18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 상 등록 장애아동이어야 하며 ②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장애 유형에 한하여 ③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단, 만 6세 미만의 영유아의 경우는 등록 장애아동이 아니더라도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장애로 예견되어 발달재활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및 검사자료로 선정기준에 포함될 수 있다.

 

선정기준 Q&A

1. 발달재활서비스 지원 기간은?

신청일 기준으로 만 18세 미만이면 발달재활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기간은 대상자로 선정된 달의 다음 달부터 장애아동이 만 18세가 되는 달까지로 한다. 단 대상 장애아동이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는 만 20세가 되는 달까지 지원을 연장 받을 수 있고, 만 20세 도래 전 학교를 졸업하는 경우 졸업하는 달까지 인정한다.

 

2.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는 소득금액이 얼마를 말하나요?

1인 기준 3,501,000원, 2인 기준 5,868,000원, 3인 기준 7,550,000원, 4인 기준 9,218,000원, 5인 기준 10,844,000원으로 대다수의 가구가 선정대상에 포함될 수 있도록 기준 요건이 낮다. 상세 조건은 아래 기준표를 참조.

 

기준 중위소득 표

 

 

 

바우처 지원액 및 본인부담금

소득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5등급으로 분류되어 지원된다.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월 22만원 전액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차상위 계층의 경우 월 20만원 지원에 본인부담금 2만원을 내야 한다. 기준 중위소득 120% 초과, 180% 이하인 가구는 월 14만원 지원액과 본인부담금 8만원을 내야 한다.

 

소득기준별 바우처 지원금액

 

 

 

발달재활서비스 신청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연중 접수를 받고 있다. 제출서류는 신분증과 소득증명자료를 필요로 한다. 만 6세미만의 영유아일 경우 위에 설명된 바와같이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세부영영 검사결과서 및 검사자료 제출을 요구 받게 된다. 상세한 문의는 주소지 주민센터에 문의하면 친절하게 소개 받을 수 있다. 발달재활서비스 신청 후 매월 27일 18시까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으로 대상자 선정결과가 전송될 경우 익월에 바우처를 받게 된다.

 

아래 링크된 보건복지부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안내 PDF 문서를 참조하시면 보다 상세한 발달재활서비스 신청자격과 선정방법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발달재활서비스 사업_22년.pdf
3.27MB

 

 

 

 

 

 

(출처 : 현대자동차)

 

배터리 용량

롱레인지 모델과 스탠다드 모델로 배터리 용량이 나뉜다. 롱레인지 모델의 경우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 배터리 용량은 서로 동일한 77.4kWh 를 사용 중이다. 스탠다드 모델에서는 조금 차이를 보이는데 아이오닉5의 경우 58.0kWh, 아이오닉6는  53.0kWh로 아이오닉5가 조금 더 큰 배터리 용량을 갖고 있다. 아이오닉5의 경우 출시 당시부터 롱레인지 모델에 77.4kWh 배터리를 적용한 건 아니다. 월래 아이오닉5 롱레인지 모델에는 72.6kWh 배터리를 적용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출시된 기아 EV6가 롱레인지 모델에 77.4kWh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자동차 동호회를 중심으로 동급 차량인 EV6보다 낮은 배터리 용량이 적용된 아이오닉5에 대해 불만이 터져 나왔다. 하지만 아이오닉5의 나름 준수한 전비와 주행가능거리로 인해 배터리 용량에 대한 이슈는 생각했던 것 보다 크게 공론화 되진 않았고 따가운 눈총을 견디다 22년 올해 연식 변경 시 롱레인지 모델의 배터리 용량을 (덩달아) 올리게 되었다.

 

 

위 아이오닉5, 아래 아이오닉6

 

 

주행가능거리와 전비

롱레인지 모델의 경우 두 차량 모두 동일한 배터리 용량을 갖고 있다고 앞서 설명드렸다. 그렇다면 과연 주행가능거리와 전비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현대자동차가 산업부에 인증 받은 수치를 기반으로 비교해보자. 제원별로 전비와 주행가능거리가 모두 상이하므로 복합(도심+고속도로) 기준, 롱레인지 모델을 놓고 보면 아이오닉5의 경우 2WD 19인치 타이어 모델의 성능이 가장 우수했으며 전비는 5.2km/kWh,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458km를 보여주었다. 아이오닉6의 경우도 동일하게 2WD 모델의 주행가능거리와 전비가 가장 좋았으며 2WD 18인치 타이어 모델 기준 복합전비 6.0km/kWh,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524km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배터리 용량 77.4kWh가 적용되었는데 전비와 주행가능거리가 차이나는 이유는 뭘까. 우선 위 두 차량의 비교 모델의 공차 중량의 경우 아이오닉6가 15kg 더 가벼운 1930kg, 아이오닉5는 1945kg으로 차이를 보이며 두번째로 공력 성능이다. 아이오닉5의 공력계수 CD는 0.288인데 비해 아이오닉6의 공력계수는 0.21로 현재까지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모든 차량 중 가장 우수한 공력성능을 갖고 있다. (포르쉐 전치차인 타이칸의 CD는 0.22, 메르세데스 EQ의 EQS는 0.20이다.) 공력계수가 낮은 아이오닉6가 장거리 고속에서 공기의 저항을 현저히 덜 받으므로 복합전비 및 주행가능거리에서 아이오닉5를 넘어설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이오닉6 (출처 : 현대자동차)

 

아이오닉5 (출처 : 현대자동차)

 

 

 

 

 

 

1. 논현1동 주민센터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학동로 20길 25

 

논현1동 주민센터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2. 논현2동 주민센터 1층 로비

 - 평일 08:30~18:30 운영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불가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학동로 43길 17

 

논현2동 주민센터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3. 논현2동 주민센터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학동로 43길 17

 

 

 

4. 논현1동 주민센터 3층 엘레베이터 옆

 - 평일 08:30~18:30 운영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불가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학동로 20길 25

 

 

 

5. 대치4동 주민센터 옥외 무인민원발급부스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도곡로 77길 23

 

대치4동 주민센터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6. 대치2동 주민센터 1층 민원실 내부

 - 평일 08:30~18:30 운영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불가

 - 주소 : 강남구 영동대로 65길 24

 

대치2동 주민센터 (출처 구글맵)

 

 

 

7. 대치1동 주민센터 옥외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남부순환대로 391길 19

 

대치1동 주민센터 (출처 구글맵)

 

 

 

8. 대치4동 주민센터 2층 민원실 내부

 - 평일 08:30~18:30 운영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불가

 - 주소 : 강남구 도곡로 77길 23

 

 

 

9. 대치2동 주민센터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영동대로 65길 24

 

 

 

10. 대치1동 주민센터 민원실내

 - 평일 09:00~18:00 운영

 - 주말 및 공휴일 이용 불가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남부순환대로 391길 19

 

 

 

 

 

 

 

1. 개포2동 주민센터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개포로 511 (개포동 182번지)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2. 일원2동 주민센터 옥외 무인민원발급부스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개포로 607 (개포동 12번지 6호)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3. 개포4동 주민센터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개포로 38길 12 (개포동 1211번지 4호)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4. 개포1동 주민센터 임시청사 1층 무인민원발급창구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개포로 303 (개포동 현대1차 아파트)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5. 삼성서울병원 본관 1층 로비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일원로 81 (별관 입구 수납창구 뒤)

 

출처 : 삼성서울병원 공식 네이버블로그

 

 

 

6. 일원1동 주민센터 옥외 무인민원발급부스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양재대로 55길 14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7. 일원본동주민센터 옥외 무인민원발급부스

 - 365일 24시간 운영

 - 등기부등본 미발급

 - 주소 : 강남구 광평로 126

 

출처 카카오맵 로드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