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리 참나무숲 (출처 : 산림청)

 

 

울주군 소호리 참나무숲

1970년대 과도한 벌목으로 황폐화된 산림을 복구하기 위해 한독국제산림협력사업이 진행되었고 그 일환 중 하나로 소호리 지역이 선택되어 천연림 보육이 진행되었습니다. 당시 소호리 지역은 헐벗은 산림 지역이었지만, 수년간의 복구 프로젝트 덕분에 현재는 참나무, 상수리나무, 전나무 등이 풍부하게 구성된 숲으로 탈바꿈 되었습니다. 2023년에는 대한민국 100대 명풍숲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소호로 95

 

 

 

 

 

 

 

훌륭한 음식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선보이는 레스토랑을 뽑는 미쉐린 빕 구르망. 2025년 미쉐린 가이드 빕 구르망에 신규 선정된 서울 맛집 10곳입니다. 나열된 순서는 순위가 아님을 밝힙니다.

 

1. 곰탕랩

'이름 그대로 곰탕을 연구하는 레스토랑'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 153 1층

추천메뉴 : 콜라겐 사골 곰탕

 

곰탕랩 (출처 : 미쉐린 가이드)

 

곰탕랩 (출처 : 미쉐린 가이드)

 

2. 면서울

'신선하고 고소한 면'

서울 강남구 선릉로 805 1층

추천 메뉴 : 생들기름면

 

면서울 (출처 : 미쉐린 가이드)
면서울

 

3. 니시무라멘

'토핑, 소스, 오일을 곁들인 풍성하고 입체적인 라멘'

서울 마포구 동교로 265 4층

추천 메뉴 : 교카이파이탄

 

니시무라멘 (출처 : 미쉐린 가이드)

 

 

4. 미필담

'이북식 만둣국의 담백한 맛과 육향'

서울 마포구 성지3길 22 1층

추천 메뉴 : 이북식 손만둣국

 

미필담
미필담

 

5. 서령

'100% 순 메밀면과 들기름'

서울 중구 소월로 10 1층

추천 메뉴 : 서령 순면

 

서령
서령

 

6. 능동미나리

'초록색 미나리가 수북 알싸한 곰탕'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40길 28

추천 메뉴 : 능동미나리 곰탕

 

능동미나리

 

능동미나리

 

7. 서교난면방

'한국적인 이탤리언 퀴진'

서울 마포구 동교로12길 16 1층

추천 메뉴 : 구엄닭 난면

 

서교난면방
서교난면방

 

 

8. 알트에이

'훌륭한 비건식 중식'

서울 용산구 보광로 109 1층

추천 메뉴 : 비건 마파두부

 

알트에이
알트에이

 

 

9. 옥돌현옥

'씹을수록 구수한 오로지 메밀만 사용한 순면'

서울 송파구 오금로36길 26-1

추천 메뉴 : 평양 물냉면

 

옥돌현옥
옥돌현옥

 

10. 유한

'세려된 타이 비스트로'

서울 용산구 대사관로5길 10-5 1층

추천 메뉴 : 랏 나

 

유한 (랏 나)
유한

 

 

 

서울, 부산 돼지국밥 맛집 6곳 - 미쉐린 가이드 선정

미쉐린 가이드에서 선정한 돼지국밥 맛집 6곳입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상호와 주소 그리고 사진만 남깁니다. 각 맛집의 상세한 기사내용은 미쉐린 가이드 원문을 꼭 참고하세요. 포스팅 맨 아래

jjjjjoo.tistory.com

 

 

 

미쉐린 가이드에서 선정한 돼지국밥 맛집 6곳입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상호와 주소 그리고 사진만 남깁니다. 각 맛집의 상세한 기사내용은 미쉐린 가이드 원문을 꼭 참고하세요. 포스팅 맨 아래 링크 남겨두었습니다.

 

부산

나막집

'하루에 100리터만 정성껏 끓여 진심을 담은 본연의 맛'

부산광역시 남구 분포로 145

 

나막집 (출처 : 미쉐린 가이드)

 

 

안목

'돼지뼈만 사용하여 순수한 방식으로 끓여낸'

부산광역시 남구 분포로 145

 

안목 (출처 : 미쉐린 가이드)

 

합천국밥집

'돼지고기의 풍미를 최대한 살린'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235

 

합천국밥집 (출처 : 미쉐린 가이드)

 

 

서울

옥동식

'깔끔하면서 깊이를 품은 국물'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7길 44-10

 

옥동식 (출처 : 미쉐린 가이드)

 

 

광화문국밥

'담백한 본연의 맛'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53

 

광화문국밥 (출처 : 미쉐린 가이드)

 

안암

'익숙하지만 특별한'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10

 

안암 (출처 : 미쉐린 가이드)

 

 

미쉐린 가이드 돼지국밥 맛집 6곳 원문

 

미쉐린 가이드 선정: 돼지국밥 맛집 6곳

매서운 바람이 불어오는 계절, 뜨끈한 돼지국밥 한 그릇은 그야말로 완벽한 위로입니다. 미쉐린 가이드가 인정한 돼지국밥 맛집 6곳을 소개합니다. 부산의 대표이자 한국인의 소울푸드를 더 깊

guide.michelin.com

 

 

1. 해양경찰청 조직 구성

해양경찰청은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부속기관으로 해양경찰교육원, 중앙해양특수구조단, 해양경찰정비창 3개와 총 5개의 지방해양경찰청을 두고 있다. 5개 지방청에는 20개의 해양경찰서가 소속되어 있으며 파출소 97개, 출장소 231개가 있다.

 

 

 

부속기관 3개

 

지방해양경찰청 5개

 

 

2. 해양경찰청 전체 조직도

 

  • 본청 : 청장, 차장, 1관 6국, 32과
  • 소속기관 : 1차 지방청(5), 부속기관(3), 2차 소속서(20), 연구센터(1), 특구대(2), VTS(19)

 

 

 

 

3. 지방해양경찰청 조직도 및 규모

1) 중부지방해양경찰청

  • 함정 87척, 항공기6대(고정익3, 회전직3), 파출소 24개소, 출장소 48개소

 

 

2) 서해지방해양경찰청

  • 함정 97척, 항공기 9대(고정익3, 회전익6), 파출소 25개소, 출장소 60개소

 

 

3) 남해지방해양경찰청

  • 함정 79척, 항공기 1대(회전익1), 파출소 24개소, 출장소 62개소

 

 

4) 동해지방해양경찰청

  • 함정 69척, 항공기 5대(회전익5), 파출소 18개소, 출장소 47개소

 

 

5) 제주지방해양경찰청

  • 함정 27척, 항공기 3기, 파출소 6개소, 출장소 14개소

 

 

4. 부속기관 조직도 및 규모

1) 해양경찰정비창

  • 함정 2척(예인서), 6과 14계 14팀

 

 

2) 해양경찰교육원

  • 함정 1척(훈련함), 4과 2센터 4팀

 

 

3) 중앙해양특수구조단

  • 1단(4팀, 잠수지원함), 2지역대(각 3팀), 특수함1, 구조정4, 소형방제정1

 

 

5. 대표함정 및 항공기

 

 

 

 

강철부대W 육군 이어진 - 아무도 예측 못한 반전 활약상 모음 (1)

아마 강철부대W를 1화부터 줄곧 시청해온 분들에게 가장 예측과 다른 활약을 보여준 부대를 꼽으라면 절반 이상이 '대한민국 육군'을 뽑을 거란 생각이 된다. 특전사나 707같은 특수부대 타이틀

jjjjjoo.tistory.com

 

 

1. 고속도로와 국도 표기 구분

  • 파란색 방패 모양에 빨간색 왕관이 있는 표지가 고속도로이다.
  • 파란색 타원형 표지는 일반국도이다.
  • 고속도로는 자동차만 다닐 수 있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뜻한다.
  • 일반국도는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기간망 도로를 말한다.

사진 출처 : TS매거진

 

2. 고속도로 표지판 숫자의 의미

1) 고속도로 숫자 자리수

  • 경부고속도로를 제외한 모든 고속도로 번호는 2자리부터 시작한다.
  •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 최초 고속도로라는 상징성 때문에 유일하게 1번이라는 한자리수 번호를 사용한다.

2) 고속도로 숫자 홀수, 짝수

  • 홀수는 남북을 가로지르는 도로이다.
  • 짝수는 동서을 가로지르는 도로이다.

사진 출처 : TS매거진

 

3) 숫자로 보는 도로 규모

  • 5번으로 끝나는 홀수 도로는 남북을 종단하는 긴 고속도로를 의미한다.
  • 0번으로 끝나는 짝수 도로는 동서를 횡단하는 긴 고속도로를 의미한다.
  • 1, 3, 7, 9로 끝나는 홀수 도로는 5번 도로보다 규모가 작은 남북 방향의 보조노선이다.
  • 2, 4, 6, 8로 끝나는 짝수 도로는 0번 도로보다 규모가 작은 동서 방향의 보조노선이다.

 

3. IC 인터체인지와 JC 정션의 구분

  • IC 인터체인지는 고속도로와 국도를 연결하는 나들목이다.
  • JC 정션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이다.

 

사진 출처 : TS매거진

 

4. 고속도로 이정표지

  • 이정표지는 지금 내 위치에서부터 표지판에 표시된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알려준다.
  • 이정표지는 10km내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5. 분기점 표지

  • 내가 가고 있는 방향에서 나올 분기점이 어디로 향하는지 알려주는 표지판이다.
  • 아래 표지판을 예시로 보면 1km 앞에 44번 국도로 나가는 9번 나들목이 있다는 뜻이다. 이 국도는 인제, 홍천으로 이어진다.

사진 출처 : TS매거진

 

6.기점표지판 보는법

  • 고속도로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200m 간격 마다 설치된 표지판이다.
  • 즉 출발한 지점에서부터 얼마나 왔는지 알려준다.
  • 아래 녹색바탕 105와 소수점 .8은 출발지로부터 현재 위치가 105.8km 지점이라는 뜻이다.

 

 

 

 

자동차 번호판을 보면 차량 종류와 용도를 알 수 있다 (자동차 번호판 알아보기)

1. 자동차 번호판 디자인자동차 번호판 디자인은 2006년부터 크게 바뀌었는데요, 2005년까지는 녹색바탕에 흰색글자의 구형 번호판이 사용되었고 2006년부터 가로 길이가 늘고 세로가 좁아진 흰색

jjjjjoo.tistory.com

 

 

 

1. 2025년 철도종사자 자격시험 일정

  • 자격시험 종류 : 철도차량 운전면허,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2. 시험 방법 및 장소

1) 필기 및 학과시험

  • 시험 방식 : 객관지 4지 선다형, CBT 시험(필요시 PBT 시행)
  • 시험 자소 : 공단 자격 시험장 8개소 (총 178석)
  • 구로(67석), 수원(14석), 춘천(14석), 대전(19석), 전주(5석), 광주(16석), 대구 (19석), 부산(24석)

 

2) 기능 및 실기시험

  • 시험 방식 : 전기능모의운전연습기(전기능모의관제시스템) 또는 실제 차량
  • 시험 장소 : 공단 기능(실기) 시험장(대전) 또는 공단이 지정하는 장소

 

3. 응시자격 (접수일 기준)

  • 신체검사, 적성검사에 합격한 사람, 해당 전문교육훈련을 이수한 사람
  • 단, 철도차량운전면허 필기시험은 교육훈련을 이수하지 않아도 응시가능
  • 철도안전법 제11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사람(면허/관제 동일)
  •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응시자는 철도안전법 제21조에서 규정한 디제찰량, 제1종 전기차량 또는 제2종 전기차량에 대한 운전업무수행 경력이 3년 이상인 사람

 

 

4. 응시원서 교부 및 접수

  • 원서교부 및 접수
  • 인터넷 : TS국가자격시험 (접수기간 시작일 09:00 ~ 접수기간 종료일 18:00)

 

5. 시험 응시수수료 (부가세 포함)

1) 철도차량 운전면허

  • 필기시험 수수료 : 77,000원 (운전면허 공통)
  • 기능시험 수수료

 

 

2)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철도관제, 도시철도관제 자격증명 공통)

  • 학과시험 수수료 : 77,000원
  • 실기시험 수수료 : 206,500원

 

6. 합격자 발표

  • 발표 : TS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 문의 : 한국교통안전공단 철도안전처 (054-459-7329, 7331~6)
  • 접수된 서류 및 수수료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시험에 합격한 후 허위기재 또는 응시자격 결격사유에 해당되면 합격을 취소함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 TS한국교통안전공단

사람 중심 교통안전을 선도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기관, 자동차검사, 자동차안전연구, 사업용 자동차관리, 교통안전 조사연구 정보 제공 정보시스템의 구축, 운영 기술 지침을 준수하여 제작하

main.kotsa.or.kr

 

 

 

남들 다하는 캠핑 우리도 한 번 해보자라고 결심 후 가장 힘들고 또 한편으로 가장 즐거운 첫 과정이 캠핑용품 선택하고 구매하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저는 캠핑을 시작하기로 마음 먹고 나서 처음 고민했던 용품이 의자였는데요. 브랜드도 많고 종류도 많아서 실제 구매하기 전까지 시간을 좀 많이 낭비했던 것 같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성인용으로 헬리녹스의 경량형 의자 1개, 노스피크의 롱 릴렉스 의자 1개, 그리고 아이용으로 노스피크의 릴렉스 의자 1개 이렇게 총 3개 구매했습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경량형은 설치 전 팩킹 상태의 부피가 매우 작고, 큰 구조의 프레임을 쓰지 않아 매우 가벼운 의자인데요, 꺼내서 설치할 때 약간의 조립이 필요합니다. (사실 텐트 치는 거에 비하면 조립이라고도 할 수 없고 20~30초면 설치합니다.) 반대로 릴렉스 의자는 큰 프레임의 의자로 접었다가 펴서 설치하는 의자로 별도 조립은 전혀 없는 대신 경량형 보다 더 무겁고, 접었을 때 일자로 접히지만 부피가 좀 나갑니다.

 

왼쪽 헬리녹스 경량형, 오른쪽 노스피크 롱릴렉스
옆면 모습입니다.
노스피크 아이용 롱릴렉스 (왼쪽), 헬리녹스 성인 경량형 (오른쪽)
위에서부터 노스피크 성인 롱릴렉스, 헬리녹스 성인 경량형, 노스피크 아이 롱릴렉스

 

 

1. 헬리녹스 경량형

매우 가볍고, 사진과 같이 팩킹된 상태에서 부피가 릴렉스에 비해 매우 작습니다. 경량형만 샀다면 한 번에 4개 정도 편한게 들 수 있을 정도입니다. 프레임은 고무줄로 연결되 마디마디를 서로 체결해서 세우는 구조인데 조립도 어렵지 않습니다. 앉았을 때 등이 당연하지만 릴렉스보다는 더 세워진 느낌입니다.

 

 

2. 노스피크 롱릴렉스형

무게가 조금 나가고, 팩킹된 상태의 크기도 일자로 깁니다. 제 트렁크에 가로로 넣으면 조금 여유 남기고 딱 맞을 정도입니다. 설치는 그냥 가방에서 꺼내서 펼치면 끝이라 매우 간단합니다. 앉았을 때 경량형 보다 좀 더 등이 누워지는 형태라 편안하게 먼 산 바라볼 때 좋습니다.

 

 

3. 경량형, 릴렉스형 어떤걸 사야할까

오프라인 매장에 가셔서 직접 앉아보고 사면 좋겠지만 굳이 그렇게 안해도 됩니다. 제가 느낀바로는 경량형은 릴렉스의 장점을 따라가지 못하고 릴렉스는 경량형의 장점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최대한 부피를 줄이고 싶은 분들은 경량형으로 부피에 덜 민감하신 분들은 릴렉스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경량형은 엉덩이가 폭 담기면서 감싸지는 느낌인데 체구가 좀 크신 분들은 약간 불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체구가 작은데 롱릴렉스 쓰시면 허리를 세워야 할 때 좀 불편할 수 있습니다.

 

 

※ 경량형 이런 분들에게 추천

1) 캠핑용품 부피에 민감한 분들

2) 체구가 크지 않는 분들

3) 푹 기대는 것 보단 약간 등이 좀 세워지는 걸 원하시는 분들

 

 

※ 롱릴렉스는 이런 분들에게 추천

1) 등을 푹 눕혀서 앉는걸 즐기는 분들

2) 체구가 상대적으로 큰 분들

3) 세웠을 때 좀 더 안정감이 느껴지길 원하는 분들

 

 

아이에게는 경량형?, 릴렉스형?

아이들에게는 경량형 보다는 아이용 릴렉스형을 추천합니다. 의자에서도 움직임이 많은 아이들에게는 경량형은 의자와 함께 넘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어 보입니다. 저는 어른용 경량형, 릴렉스 둘보다 아이용 릴렉스가 자주 앉았다 일어났다할 때는 좀 더 편했습니다.

 

릴렉스 체어 (왼쪽 아이용, 오른쪽 어른용)
후면 모습니다.
옆면 모습니다.
접었을 때 크기 비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