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대 그랜저 GN7 (정식 모델명 THE ALL-NEW GRANDEUR)가 11월 14일 공식 출시됐다. 그랜저는 그동안 규모와 기술력에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 현대의 플래그쉽 모델이자, 뛰어난 상품성으로 국민적 사랑을 받은 세단이다. 특히 6세대 그랜저인 IG는 월 1만대 이상의 꾸준한 판매를 한 일명 대박을 친 모델이라 7세대 GN7의 기대가 어느 때 보다 높았다.
공식 출시 전 스파이샷 기반으로 예상 디자인을 뽑아낸 렌더링이 인터넷에 떠돌 때 디자인에 대한 우려도 많았지만 공식 이미지가 공개되자 대중의 여론도 기대와 만족으로 바뀌는 모습이다.사전예약수량이 6만대를 넘어 더 이상 사전계약도 받지 못하고 있는 걸 보면 국내는 준대형 세그먼트에서 그랜저를 대체할 만한 경쟁 모델이 없어 보인다. IG의 흥행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7세대 그랜저의 디자인, 제원, 트림별 가격 및 필수옵션을 하나하나 살펴보며 어떤 모델이 나에게 맞을지 알아보도록 하자.
1. 7세대 GN7 디올뉴 그랜저 디자인
스타리아부터 시작된 파라메트릭 패턴 라디에이터그릴, 수평형 LED DRL의 전면 디자인이 7세대 신형 그랜저에도 적용되었다. 인터넷에 떠돌던 예상 렌더링 때문에 우려가 많았지만 실물은 기대 이상이란 평가가 우세하다. 월래 현대 모델의 전면 디자인은 아무리 잘 뽑아도 특정 각도에서 어설픈 모습이 있었으나 7세대 그랜저의 전면부는 그런 단점이 없는 듯하다. 수평 LED DRL이 전면부를 심플하면서도 미래지향적이 분위를 연출한다. 하단의 파라메트릭 패턴 그릴과 후드와 차체의 파팅라인은 짐짓 심심해 보일 수 있는 전면부의 디테일을 살려준다.
앞, 뒤 길어진 오버행으로 전장이 매우 길어졌지만 전면의 수평 DRL이 프론트 휠하우스 거의 앞까지 연결되고 수평 슬림 리어콤비램프 역시 패스트백 형태의 C필러가 차체와 만나는 지점까지 이어져 수평적으로 매우 안정된 느낌이다. 1세대 일명 각그랜저의 오마주인 C필러의 쿼터글라스 디자인도 나쁘지 않다. 후면도 앞면처럼 매우 심플하다, 다만 좀 심심한 모습이다.
전면, 측면, 후면 중 가장 아쉬운 부분은 후면인데 볼륨과 라인은 훌륭하지만 디테일한 느낌이 부족헤 보인다. IG의 리어콤비 램프의 헤리티지를 심플한 모습으로 적용했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TG, HG, IG 모두 디테일은 다르지만 매우 유사한 리어콤비램프 디자인을 이어 왔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전 6세대인 IG 디자인도 훌륭했지만 이번 7세대 GN7 디자인도 성공한 것으로 평가하고 싶다.
2. 7세대 GN7 디올뉴 그랜저 제원
파워트레인은 총 4종으로 2.5리터 GDI 가솔린, 3.5리터 GDI 가솔린, 3.5리터 LPG, 1.6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이다. 전기차 모델이 빠졌는데 현재까지는 출시될지 미지수다. 연비는 복합기준으로 트림별 제일 높은 연비가 2.5리터일 경우 11.7km/L, 3.5리터일 경우 10.4km/L, 하이브리드는 18.0km/L다. 개인적으로 현시점에서 GN7 구매를 고려한다면 2.5리터 모델로 가던가, 아니면 여유가 될 경우 하이브리드 모델을 추천하고 싶다.
전기차로 전환되는 시점이라 내연기관은 더이상 유의미한 성능개선이 없어 보이고 2.5리터도 출력이 나쁘지 않기 때문에 굳이 3.5리터의 매리트가 보이지 않는다. 하이브리드의 경우는 현대도 이미 기술력에서 정점을 찍은 것으로 보여 신뢰할 만하고 연비도 거의 정상급이기 때문이다.
차량크기는 전장 5035mm, 전폭 1880mm, 휠베이스 2895mm로 6세대 IG보다 길어졌고, 전고는 1460mm로 IG에 비해 10mm 낮아졌다. 그랜저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넓은 실내 공간이다. 6세대 IG의 경우 준대형 동급 차량 중 실내가 가장 넓은 편에 속하는데 GN7 역시 실내가 매우 넓다. 다만 2열시트가 좀 더 커져서 실내는 IG가 느낌상 더 넓은 느낌이다.
3. 디올뉴 그랜저 7세대 가격
트림은 크게 3가지로 프리미엄, 익스클루시브, 캘리그래피로 구성된다. 2.5리터 기준으로 프리미엄의 경우 3천7백8십5만원 (개별소비스 5% 적용기준), 익스클루시브는 4천2백8십만원, 캘리그라피는 4천6백9십만원이다. 3.5리터 엔진 선택 시 각 트림별로 2백5십만원이 추가된다. 3.5리터 LPG의 경우 프리미엄이 3천9백3십5만원, 익스클루시브 4천4백3십만원이다. 위 가격은 선택사항(옵션)을 전혀 넣지 않은 차량가이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팅필름 추천 - 한국소비자원 성능평가 기준 (0) | 2023.11.20 |
---|---|
GN7 신형 그랜저 구매가이드 (2편 - 상세가격, 기본옵션, 선택옵션 비교) (0) | 2022.11.21 |
기아 모닝 스마트키 배터리 교체 ('도구없이 3분 이내 교체') (0) | 2022.11.07 |
아이오닉5 vs 아이오닉6 전비 및 주행가능거리 비교 (산업부 인증기준) (0) | 2022.10.10 |
2022~2023 벤츠 GLS 400d 페이스 리프트 (제원, 디자인, 가격)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