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난임시술 체외수정 의료기관은 부산, 경남지역에 총 27곳이 있습니다. 이 중 상급종합병원은 동아대병원, 부산대병원, 부산백병원 총 3곳입니다. 그외 종합병원급은 3곳, 병원급 10곳, 의원급 11곳이 있습니다. 부산, 경남지역 정부지정 난임시술 체외수정 병원 현황을 정리했으니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정부지정 난임병원 체외수정 시술기관 현황 (부산/경남)

 

 

 

2. 정부지정 난임병원 체외수정 시술기관 현황 (부산/경남) - 동일한 내용의 엑셀파일 표입니다.

 

부산/경남 정부지정 체외수정 (시험관아기) 시술 기관
구분 병원명 연락처 지역
상급종합 동아대학교병원 051-240-2400 부산 서구
상급종합 부산대학교병원 240-7000 부산 서구
상급종합 인제대학교부산백병원 051-890-6114 부산 부산진구
상급종합 경상국립대학교병원 055-750-8000 경남 진주시
종합병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051-797-0100 부산 해운대구
종합병원 일신기독병원 051-630-0300 부산 동구
종합병원 좋은문화병원 051-644-2002 부산 동구
종합병원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055-214-2000 경남 창원시
종합병원 창원한마음병원 055-225-0000 경남 창원시
병원 정관일신기독병원 051-780-0600 부산 기장군
병원 광안자모병원 051-760-0600 부산 수영구
병원 미래로병원 051-330-5000 부산 북구
병원 미래아이여성병원 051-200-9999 부산 사하구
병원 미래여성병원 051-890-9999 부산 부산진구
병원 세화병원 051-505-1333 부산 동래구
병원 순병원 051-515-0005 부산 금정구
병원 에디스여성병원 051-206-0999 부산 사하구
병원 연제일신병원 051-862-2002 부산 연제구
병원 좋은날에 드라마여성병원 051-522-7575 부산 동래구
병원 더프라임병원 055-328-0059 경남 김해시
병원 우리여성병원 055-321-0114 경남 김해시
병원 진주미래여성병원 055-760-8000 경남 진주시
병원 참여성병원 055-249-0600 경남 창원시
의원 뉴본여성의원 051-291-7777 부산 사하구
의원 더미즈웰산부인과의원 051-365-3575 부산 북구
의원 리오라여성의원 051-714-1930 부산 부산진구
의원 본베베여성의원 051-714-6083 부산 동래구
의원 삼성제일산부인과의원 051-747-3999 부산 해운대구
의원 센텀이룸여성의원 051-758-8275 부산 해운대구
의원 센텀희여성의원 051-710-2021 부산 해운대구
의원 아이사랑산부인과의원 051-890-7000 부산 부산진구
의원 아이앤젤여성의원 051-722-3579 부산 기장군
의원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의원 051-441-6555 부산 연제구
의원 이룸여성의원 051-803-2616 부산 사하구
의원 가야자모의원 055-758-2222 경남 진주시
의원 미래산부인과의원 055-221-3777 경남 창원시
의원 미즈맘여성의원 055-688-9123 경남 거제시
의원 미즈모아산부인과의원 055-365-0202 경남 양산시
의원 미즈여성의원 055-745-7711 경남 진주시
의원 에델여성의원 055-912-0300 경남 양산시
의원 엘르메디산부인과의원 055-253-2111 경남 창원시
의원 오즈산부인과의원 055-312-0114 경남 김해시
의원 장유산부인과의원 055-314-9995 경남 김해시
의원 참조은산부인과의원 055-741-5151 경남 진주시
의원 하나산부인과의원 055-295-0246 경남 창원시

 

 

 

 

사진 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이용 안내서

 

 

MRI 자기공명영상진단은 대표적인 비급여항목으로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진료비용은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정하기 때문에 병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기반으로 서울 상급종합병원의 뇌 MRI 비용 현황을 정리했으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1. 뇌 MRI 비용 - 서울 상급종합병원 기준

 

 

 

2. 뇌 MRI 비용 - 서울 상급종합병원 기준 (엑셀파일 표)

 

뇌 MRI 비용 - 서울 상급종합병원 기준
의료기관명 비용 구분 소재지 진료항목
한양대학교병원 696,000원 상급종합 서울 성동구
뇌 MRI 기본검사
경희대학교병원 710,000원 상급종합 서울 동대문구
중앙대학교병원 734,000원 상급종합 서울 동작구
서울대학교병원 759,000원 상급종합 서울 종로구
서울성모병원 759,000원 상급종합 서울 서초구
강북삼성병원 770,000원 상급종합 서울 종로구
건국대학교병원 770,000원 상급종합 서울 광진구
연세 강남세브란스병원 770,000원 상급종합 서울 강남구
이화여대 목동병원 786,000원 상급종합 서울 양천구
연세 세브란스병원 800,000원 상급종합 서울 서대문구
삼성서울병원 819,000원 상급종합 서울 강남구
서울아산병원 830,000원 상급종합 서울 송파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885,000원 상급종합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925,000원 상급종합 서울 구로구

 

 

 

 

 

체외수정은 흔히 시험관 아기 시술로도 불리는 난임 치료 방법으로 몸 밖에서 난자와 정자를 수정시켜 수정란을 만들고 이를 배양한 다음 배아를 자궁에 주입시키는 시술입니다. 여성의 난소에서 성숙된 난자를 채취하고 남성의 정액을 채취하여 시험관이나 배양접시에서 수정시킨 후 수정란을 2~3일 동안 배양하여 여성의 자궁내막에 이식해 임신이 되도록 유도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칩니다.

 

정부지정 체외수정 의료기관은 전국에 총 272곳으로 서울에는 60곳, 경기도는 55곳이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만 살펴보면 서울에 8곳 (삼성서울병원, 고려대부속 구로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연세 강남세브란스병원, 연세 신촌 세브란스병원, 이화여대 목동병원, 서울아산병원, 안암 고려대병원)이 있으며, 경기도는 3곳 (고려대 안산병원, 분당 서울대병원, 아주대병원)이 있습니다. 좀 더 상세한 현황은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정부지정 체외수정 의료기관 - 서울

 

서울 체외수정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서울 체외수정 병원급
서울 체외수정 의원급

 

 

2. 정부지정 체외수정 의료기관 - 경기도

 

경기도 체외수정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병원
경기도 체외수정 의원급

 

3. 정부지정 체외수정 시술 기관 - 서울/경기 통합 (엑셀표)

서울지역
구분 병원명 전화번호 지역
상급종합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02-2626-1114 구로구
상급종합 삼성서울병원 02-3410-2114 강남구
상급종합 서울대학교병원 1588-5700 종로구
상급종합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02-2019-3114 강남구
상급종합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02-2228-0114 서대문구
상급종합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02-2650-5114 양천구
상급종합 서울아산병원 02-3010-3114 송파구
상급종합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1577-0083 성북구
종합병원 국립중앙의료원 02-2260-7114 중구 을
종합병원 노원을지대학교병원 02-970-8000 노원구
종합병원 미즈메디병원 02-2007-1000 강서구
종합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02-870-2114 동작구
종합병원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02-2276-7000 중랑구
종합병원 성심의료재단강동성심병원 02-2224-2114 강동구
종합병원 성애의료재단 성애병원 02-840-7114 영등포구
종합병원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02-3468-3000 강남구
병원 린여성병원 2244-1212 동대문구
병원 메디아이여성병원 02-936-2122 노원구
병원 삼성미래여성병원 02-2682-2100 구로구
병원 에이치큐브병원 02-900-2000 도봉구
병원 유광사여성병원 02-2608-1011 강서구
병원 윤호병원 02-512-0500 강남구
병원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병원 02-2152-6555 송파구
병원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병원 02-2234-6555 동대문구
병원 인정병원 02-309-0909 은평구
병원 장스여성병원 02-490-4000 중랑구
병원 청화병원 02-815-3788 동작구
병원 포미즈여성병원 02-2651-7500 양천구
병원 햇빛병원 02-983-7771 강북구
병원 호산여성병원 02-546-3493 강남구
의원 (의)성광의료재단 차여성의원 02-2002-0300 중구 한
의원 감자와눈사람여성의원 02-467-6727 강서구
의원 강동드림산부인과의원 02-441-4567 강동구
의원 김정화산부인과의원 02-883-3307 관악구
의원 도곡함춘산부인과의원 02-1661-9722 강남구
의원 미래아이산부인과의원 02-3665-2002 강서구
의원 미래연여성의원 02-6012-2220 송파구
의원 미래와희망산부인과의원 02-3446-0011 강남구
의원 베스트오브미여성의원 02-6287-3000 강남구
의원 사랑아이여성의원 02-419-7501 송파구
의원 서울라헬여성의원 02-3286-7500 마포구
의원 서울아가온여성의원 02-864-7500 구로구
의원 서울아이앤여성의원 02-6953-7119 강동구
의원 아란태산부인과의원 02-2630-6600 영등포구
의원 아이수산부인과의원 02-3483-2255 서초구
의원 아이엘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의원 02-2068-5111 영등포구
의원 에이치아이여성의원 02-3662-0401 강서구
의원 엠여성의원 02-6188-0070 강남구
의원 엠제이산부인과의원 2109-3000 금천구
의원 연세더블유산부인과의원 02-587-2330 서초구
의원 연세수피아산부인과의원 02-408-8275 송파구
의원 우리기쁜산부인과의원 02-2039-1000 성북구
의원 은산부인과의원 02-359-7175 은평구
의원 은혜산부인과의원 02-353-4307 은평구
의원 마리아의료재단 마리아의원 02-2218-7555 중랑구
의원 조윤희산부인과의원 02-802-8892 금천구
의원 청담마리산부인과의원 02-2156-9200 강남구
의원 퀸스메디산부인과의원 2289-2800 노원구
의원 포유문산부인과의원 02-443-1600 송파구
의원 함춘여성의원 02-522-0123 서초구

 

 

 

 

 

 

가정간호는 가정전문간호사가 환자의 집에 직접 방문하여 의사의 처방에 따라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후 퇴원할 때 가정간호를 담당 의사에게 신청하면 가정간호의 필요여부를 의사가 판단 후에 해당 병원에 속한 가정전문간호사의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가정간호 비용은 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1회 76,590원이나 건강보험 적용 시 본인부담은 20%로 약 15,320원이며 암환자의 경우는 5%의 본인부담금만 내면 되므로 3,829원의 비용이 듭니다. 희귀, 중증, 난치질환자의 경우는 본임부담이 10%로 비용은 약 7659원입니다. (기본 방문비용이며 간호에 필요한 재료비와 행위료는 미포함됨 가격입니다.)

 

간혹 가정간호와 방문간호를 혼동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방문간호는 장기요양기관에 속한 간호사나 간호조무사가 방문하는 서비스이고 가정간호는 상급종합볍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 전문 의료기관 소속의 가정전문간호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른 치료와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정간호는 환자가 받고 싶다고 하여 무조건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님)

 

 

 

 

 

 

 

 

퇴원한 환자의 집에 가정전문간호사가 방문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간호라고 합니다. 가정간호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실시하지 않으며 각 지역별로 가정간호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정해져 있습니다. 서울에서 가정간호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은 총 25곳으로 상급종합병원급 11곳, 종합병원급 7곳, 병원급 1곳, 의원급 6곳 입니다.

 

가정간호는 모든 환자가 신청한다고 받을 수 있는게 아니며 담당 주치의가 퇴원 후 집에서도 처방과 관련된 치료와 간호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 비용은 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1회 76,590원이며 건강보험 적용 시 자기부담금 20%인 1만 5천원 정도입니다. 희귀, 중증, 난치질환자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10%, 암환자의 경우 자기부담금이 5%입니다.

 

 

서울 가정간호 실시 병원 현황

 

 

 

 

Image by cdn.abcotvs.com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헌혈된 혈액은 에이즈 검사를 한다고 알고 있으니 본인의 에이즈 감염여부를 알기 위해 헌혈을 하면 감염여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는데 정답은 '불가능하다'입니다. 물론 헌혈자에게 본인의 혈액에 대한 기본적인 검사결과는 알려줍니다만 에이즈는 제외됩니다.

 

이유는 헌혈로 에이즈 감염여부를 알려준다면 에이즈에 감염될 위험이 높은 사람들은 본인의 감염여부 확인을 위해 헌혈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헌혈된 혈액은 수혈로 감염될 수 있는 B형간염, C형간염, 매독, 에이즈 검사를 진행하지만 이들 바이러스는 감염된 직후부터 일정기간 동안 검사로 확인할 수 없는 기간이 각각 존재합니다. 혈액검사센터에서는 이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B형간염, C형간염, 에이즈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추가로 핵산증폭검사를 진행합니다.

 

핵산증폭검사는 헌혈된 혈액 내의 핵산(DNA 또는 RNA)를 분리 및 증폭하여 아주 민감하게 감염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인데 하지만 이 방법도 에이즈 바이러스에 감염 직후 헌혈을 할 경우 검출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에이즈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고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헌혈하는 것은 일종은 범죄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수혈로 에이즈에 감염될 확률은 백만분의 1로 매우 매우 낮습니다.)

 

 

참고로 헌혈 후 3일 이내 혈액검사결과가 헌혈자에게 통보되며 대한적십자사 홈페이지에서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로 확인 할 수 있는 항목은 B형간염, C형간염, 매독, 인체T림프영양성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란?

만 18세 이하 장애아동의 발달단계별 집중재활치료 서비스를 목적으로 신규 건립 또는 지정된 의료기관을 의미한다. 2021년에 어린이재활병원 2개소, 어린이재활센터 8개소 신규 건립이 최종 확정되었고, 제주에는 센터 1곳이, 서울과 경기에는 각 1곳이 어린이재활병원으로 지정되었다.

 

신규 건립 예정인 공공어린이병원 중 2023년 올해 개원 예정인 곳은 대전 공공어린이병원으로 3월에 개원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공공어린이병원은 매년 운영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예산확보와 민간 후원이 절실한 사업인데 대전 공공어린이병원의 경우 넥슨재단에서 건립후원금 100억을 지원하여 전국에서 가장 먼저 개원하는 공공어린이병원이 되었다. 대전 다음으로 개원이 예정인 곳은 경남 창원으로 2024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5년에 창원 공공어린이병원이 개원할 예정이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현황

앞서 설명한 대로 어린이재활병원 2개소, 어린이재활센터 8개소가 전국에 신규 건립될 예정이다. 병원급은 충남 대전과 경남 창원 2개소이며, 나머지는 센터급으로 강원 2개소 (춘천, 원주), 경북 2개소 (대구, 안동), 전남 2개소 (광주, 목포), 전북 1개소 (전주), 충북 1개소 (청주)이다. 신규 건립 예정인 곳 중 유일하게 대전 공공어린이병원만 2023년 올해 3월 전국 최초로 개원 예정이다. (주소 : 대전시 서구 관저동 567-10) 아무쪼록 신규 건립이 확정된 10개소의 공공어린이병원/센터의 빠른 건립과 개원이 이뤄지도록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이 있기를 바라본다.

 

공공어린이병원/센터 신규 건립 및 지정 현황

 

 

1) 병원급 신규 건립

  • 충남 대전 공공어린이병원 (2023년 3월 개원)
  • 경남 창원 공공어린이병원 (2025년 개원 예정)

2) 센터급 신규 건립

  • 강원 춘천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3년 말 완공 예정)
  • 강원 원주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4년 개원 예정)
  • 전북 전주 공공어린이재활센터
  • 충북 청주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3년 11월 개원 예정)
  • 전남 광주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4년 개원 예정)
  • 전남 목포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4년 개원 예정)
  • 경북 대구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4년 개원 예정)
  • 경북 안동 공공어린이재활센터 (2023년 말 개원 예정)

 

창원 공공어린이병원 예상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