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영업이익 적자 발생과 상장폐지 사이에 관련이 없다.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기준에 따르면 영업이익이 적자를 냈다고 상장이 폐지되는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엄청난 영업이익 손실을 기록하더라도 또는 몇 년 동안 영업이익 손실이 발생해도 관리종목에 지정되거나 상장폐지 실질심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즉 코스피 상장기업은 영업이익 손실과 상장폐지 사이에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단 기업이 순이익을 내지 못하고 손실이 계속 누적되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 경우는 관리종목 지정과 상장폐지 대상에 해당되게 됩니다. 자본잠식의 경우 최근사업연도 사업보고서상 자본금이 50% 이상 잠식될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되며 최근사업연도 사업보고서상 완전 자본잠식 발생 또는 자본금 50% 이상 잠식 2년 이상일 경우 상장폐지 대상이 되게 됩니다.

 

즉, 장사를 해서 손해를 봤다고 상장폐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손해 때문에 기업의 자본금이 잠식 되게 될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 및 상장폐지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코스닥은 영업이익 손실로 상장폐지가 될 수 있다.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경우 코스피와 다르게 영업이익 손실과 관련해서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를 당할 수 있습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퇴출요건을 보면 최근 4사업연도 영업손실일 경우 관리종목에 지정되며(단, 기술성장기업은 미해당) 관리종목 지정 후 최근 사업연도에서 영업이익 손실이 발생할 경우 상장폐지 실질 심사 대상에 지정되게 됩니다. 즉 4년 연속 영업이익 손실이면 관리종목에 지정되고 5년 연속일 경우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이 되어 상장폐지를 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코스닥 기업에 투자할 때는 영업이익 손실 발생 여부를 꼭 체크해야 합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퇴출요건 중 장기영업손실 항목

 

 

 

 

코스닥 기업이고 4년 연속 영업이익 적자인데 관리종목 지정이 안된다?

이 경우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앞에서 언급드린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기술의 완성도, 경쟁우위도, 상용화 경쟁력 등으로 평가되는 기술성과 그 기술의 시장규모 및 성장잠재력, 경쟁력으로 평가되는 시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기술성장기업으로 상장을 하게 되면 영업이익 손실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대상에서 제외되게 됩니다. 바이오, 제약 업종과 같이 보유 기술은 우수하지만 상용화에 따른 이익 발생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좋은 예입니다.

 

 

두 번째는 기준을 잘 몰라서 생기는 오해입니다. IFRS(국제회계기준) 도입 이후 연결재무제표가 기본재무제표가 되었지만 위에서 언급한 관리종목과 상장폐지에 대상이 될 수 있는 장기영업이익손실에 해당하는 기준은 별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합니다. 연결재무제표는 지분율에 관계없이 자회사의 재무제표를 100% 합산하기 때문에 자회사의 손실로 평가 대상이 되는 모기업의 영업이익 손실이 왜곡되어 보여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별도재무제표가 기준이므로 연결재무제표 상으로는 4년 연속 영업이익이 적자라도 관리종목 지정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젬백스의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18기를 보면 영업이익이 손실로 표기됨

 

 

 

별도재무제표 포괄손익계산서의 18기를 보면 영업이익이 흑자로 표기됨

 

 

 

영업이익 적자와 감사의견은 관련이 있다?

간혹 주식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된 분들이 혼동하는 부분이 기업이 몇 년간 영업이익 적자를 내고 있는데 감사보고서의 감사의견이 어떻게 '적정'으로 나올 수 있느냐라고 반문할 수 있습니다. 결론은 '감사의견과 영업이익 손실은 아무 관련이 없다'입니다. 감사의견은 회사의 재무제표가 올바른 기준으로 작성되었는지를 말해주는 기준이지 회사의 영업이익이 계속 적자이니 문을 닫아야 한다라는 결론을 내는 행위가 아닙니다. 바꿔 말하면 아무리 영업이익 손실이 크고 곧 망할 것 같은 회사라도 재무제표 작성 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감사의견은 적정이 나오게 됩니다. 즉 감사의견의 적정은 기업의 재무 건정성과는 별개입니다.

 

 

 

1) 포스팅에 사용된 이미지는 KRX, DART 자료를 이용했습니다.

2) 해당 포스팅의 일부 또는 전체를 사용할 경우 출처를 명기해 주세요.

 

 

 

 

관련글

코스피 상장사 / 코스닥 상장사 현황 (19년 8월)

 

코스피 상장사 / 코스닥 상장사 현황 (19년 8월)

한국거래소 KRX 상장 기업 수 2019년 8월 31일 기준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전체 기업 수는 2303개사입니다. 업종별로는 기계 제조업이 175개사로 1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이 126개사로 2위, 전자부품..

jjjjjoo.tistory.com

 

 

 

 

 

 

 

 

 

한국거래소 KRX 상장 기업 수

2019년 8월 31일 기준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전체 기업 수는 2303개사입니다. 업종별로는 기계 제조업이 175개사로 1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이 126개사로 2위, 전자부품 제조업이 115개사로 3위, 자동차 부품 제조업이 106개사로 4위, 기타 금융업(지주회사 포함)이 87개사로 5위를 이루고 있습니다. 상장 기업 수만 정리했을 뿐인데 기계, 전자 등 제조업이 우리나라의 핵심 산업 분야라는 걸 쉽게 알 수가 있네요. 전체 상장 기업 수는 전체 상장 종목 수보다 조금 작은데 이유는 종목 수에는 우선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전체 종목 수는 2418개입니다. 전체 상장 기업 리스트는 아래 엑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거래소 전체 상장 기업.xls
0.79MB

 

 

 

코스피 상장 기업 수

코스피 상장 기업 수는 총 789개사입니다. 업종별 순위는 지주회사가 포함된 기타 금융업이 58개사로 1위, 자동차 부품 제조업이 48개사로 2위, 의약품 제조업이 39개사로 3위, 철강 제조업이 34개사로 4위, 기계 제조업이 31개사로 5위, 화학물질 제조업이 27개사로 6위를 이루고 있습니다. 지주회사가 포함된 기타 금융업을 제외하면 자동차 제조업 분야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의약품, 철강 분야가 그 뒤를 있고 있습니다. 코스피도 역시 제조업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네요. 코스피 상장 기업 리스트도 엑셀파일 첨부했습니다.

 

 

 

 

 

한국거래소 코스피 상장 기업.xls
0.28MB

 

 

 

코스닥 상장 기업 수

코스닥 상장 기업 수는 코스피 보다 많은 1364개사입니다. 업종별 순위는 기계 제조업이 137개사로 1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이 103개사로 2위, 전자부품 제조업이 93개사로 3위, 통신 및 방송 장비 제조업이 64개사로 4위, 금융 지원 서비스업이 53개사로 5위를 이루고 있습니다. 벤처기업을 위한 시장답게 코스닥에서는 IT 분야 기업들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걸 순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이하게 금융 지원 서비스업이 5위를 기록하는 걸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기업인수목적을 위해 설립된 페이퍼 컴패니의 일종인 SPAC 으로 채워진 걸 상세 리스트에서 알 수 있습니다. 코스닥 상장 기업 리스트도 아래 첨부 파일을 참조하세요.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 기업.xls
0.48MB

 

 

 

한국거래소 KRX 활용팁

주식 투자를 하게 되면 꼭 활용해야 하는 사이트 중 하나가 한국거래소 KRX 입니다. 회원 가입 필요 없이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의 상장기업, 종목현황, 영역별 순위 정보 등 투자에 필요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쓴 각 시장별 순위 자료도 KRX 에서 받은 자료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PER, PBR, 배당수익 등 조건별 기업 리스트, 투자자별 순매수 상위종목 현황 등 투자에 필요한 통계자료도 엑셀파일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잠깐 살펴봤지만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와 친해져야할 중요한 이유들이 많네요.

 

 

 

 

 

 

자료 출처 :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