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산이란 (Folic acid)

사전적 의미는 '잎에서 추출한 산성 물질'이란 뜻을 가지며, 의학적으로는 수용성 비타민 B 복합체로서 핵산과 아미노산 대사에 필요한 효소의 조효소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DNA 합성에 꼭 필요하므로 세포분열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유아기, 성장기, 임신기, 수유기에 몸속의 엽산 필요량이 매우 증가합니다.

 

1990년대에 임신 전부터 엽산을 지속 복용한 임산부는 태아의 신경계 기형 발생과 재발률이 감소했다는 연구가 보고되면서 엽산 섭취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특히 임신 전후 한달 동안 엽산 보충제를 복용했을 경우 신생아의 신경관 결손증이 60~10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 보건부에서는 모든 가임 여성들에게 신경관 결손 예방을 위해 엽산 섭취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미국 보건부의 엽산 권장 섭취량은 하루 400μg)

 

엽산 부족시 증상

엽산 섭취량이 부족하면 혈청 엽산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유발될 수 있고, 산소 운반능력이 떨어져 허약감, 피로, 불안정, 가슴의 두근거림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임신초기에 엽산 부족 시 태아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신경관결손증의 기형아 출산 확률이 높다는 것이 밝혀져 있습니다.

 

 

 

 

여성 엽산 권장 섭취량

(보건복지부 발행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자료 기준)

 

  • 여성 09~11세 : 300 μg/일
  • 여성 12~14세 : 360 μg/일
  • 여성 15~18세 : 400 μg/일
  • 여성 19~75세 : 400 μg/일
  • 임신부는 상기 권장 섭취량에서 +220μg/일
  • 수유부는 상기 권장 섭취량에서 +150μg/일

 

여성 엽산 상한 섭취량

  • 여성 09~11세 :  600 μg/일
  • 여성 12~14세 :  800 μg/일
  • 여성 15~18세 :  900 μg/일
  • 여성 19~75세 : 1000 μg/일
  • 임신부, 수유부 여성도 모두 일 상한 섭취량은 1000 μg임

 

엽산 권장섭취량

 

엽산 과다 섭취 시 부작용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으나 비타민 B12 결핍의 증상 중 하나인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엽산 결핍에 의한 빈혈과 구분하기가 어려운데, 진단되지 않은 비타민 B12 결핍 환자에게 대량의 엽산을 줄 경우 기존의 비타민 B12 결핍의 교정 없이 거대적아구성 빈혈만 교정되고 비가역적인 신경 손상 발생의 위험성은 남아 있을 수 있다. 비타민 B12 결핍 환자에서 비가역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미국 의학 협회의 식품 영양 위원회는 모든 성인에서 엽상 허용량을 하루 1000μg으로 제한 중이다.

 

※ 참조문서1. 임신 중 올바른 영양제 복용법 (관동의대 제일병원 산부인과 김민형)2. 비타민과 약물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김희진)3. 보건복지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활용 자료

 

엽산이 풍부한 식재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