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 복도 천장 매입등 3개 중 2개가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교체하려고 현재 천장에 설치된 램프 사양을 확인해 보니 할로겐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할로겐 램프는 소비전력이 30W 정도로 전기를 많이 소비하고 발열도 높아 이 참에 LED 타입 매입 등으로 교체하기로 한다. 참고로 LED 매입등 소비전력은 5~8W 정도이고 발열도 적다.
현재 설치된 할로겐 램프를 보면 안정기가 별도로 달려 있다. 안정기는 집 배전반에서 오는 220V 전압을 램프가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는 전압으로 낮추고 서지 등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는데 최근에는 안정기가 대부분 매입등에 내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나도 쿠팡에서 LED 천장 매입등을 검색해서 안정기가 포함된 제품을 3개 구매했다.
내돈내산 새로산 LED 매입등
구매할 때 특별한 유의사항은 자기 집 천장의 매입등 타공홀 사이즈만 확인하고 구매하면 된다. 우리집 천장 매입등 타공홀은 약 75mm 정도로 일반적인 사이즈다. 매입등 상품검색하면 사이즈도 함께 나오니 참고하자.
천장 조명 매입등 전선연결
기존에 달려 있는 천장 매입등을 꺼내 보면 전선 3가닥이 보인다. 1가닥은 접지, 1가닥은 배전반 전원선, 1가닥은 스위치선이다. 배전반 전원선과 스위치선은 폐회로 구성이기 때문에 서로 뒤바뀌어 꽂아도 문제없고 접지만 제대로 상호 연결해 주면 된다. 텍스트만 보면 헷갈릴 수 있으니 아래 교체 작업 사진과 설명을 참고하자. 작업할 때 반드시, 반드시 배전반(일명 두꺼비집) 차단기를 내려주고 작업하시라.
① 기존 매입등을 탈거한다.
탈거 매우 쉽다. 돌려서 빼는 게 아니라 천장벽지와 램프 테두리 사이를 살짝 벌려서 당기면 살짝 내려온다. 좌우에 고정형 스프링으로 천장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 스프링을 힘으로 눌러서 빼면 등이 천장에서 쉽게 탈거된다.
스프링을 눌러서 완전히 탈거해야 쉽다. 그냥 당기면 석고보드 가루가 휘날리며 일이 많아진다.
② 구형 매입등과 안정기를 배전반 커넥터에서 제거하자.
드라이버만 있으면 된다. 빼내자
③ 새로 구매한 LED 매입등의 전선을 배전반 커넥터에 연결하자.
앞서 짧게 설명했지만 녹색이 접지선이다. 배전반에서 오는 녹색선도 접지이고, 새로 산 매입등에서 나오는 녹색선도 접지이다. 이 둘은 상호 연결되게 꽂아주자. 나머지 2가닥은 전원선과 스위치선이다. 또 역시 앞서 말했지만 둘이 폐회로 구성이라(= 스위치를 누르면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 꽂을 때 뒤바뀌어도 문제없다. 하지만 배전반 커넥터에 꽂혀 있는 대로 그냥 해줬다. 흰색이 전원선인 것 같아 LED 조명 흰색선과 연결했고, LED 조명 검은색은 배전반 커넥터 노란색과 연결했다. 사진 참조하세요.
자동차용 선팅필름을 선택할 때 가시광선 투과율을 반드시 확인 후 시공해야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는다. 도로교통법에서는 차량 전면 유리 기준 가시광선 투과율 70% 이상, 1열 창유리 (운전석, 조수석) 40% 이상으로 기준을 두고 있다. 이를 어길 시 2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해질 수 있다.
만약 차량 유리가 자외서 차단 유리일 경우 선팅필름 시공 시 전면유리는 가시광선 투과율 80% 이상, 1열 창유리는 50% 이상인 제품으로 시공해야 위 도로교통법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2열 창유리는 후면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현재 도로교통법 기준 가시광선 투과율 기준이 없어져 전방 유리와 1열 창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만 잘 지키면 된다. 요인 경호용 차량, 구급용 및 장의용 차량 같은 경우는 전면, 1열 창유리 가시광선 투과율 기준에서 제외된다.
2023년 11월에 소비자보호원이 시중에 판매 중인 일반세탁기 액상 세제의 성능 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브랜드 파워가 높은 퍼실부터 상대적으로 저렴한 노브랜드 제품까지 총 12개 세제를 대상으로 세척 성능, 1회당 세탁비용, 안정성, 환경성에 대한 세밀한 평가를 공개했습니다. 평가 항목이 많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인 세척성능과 1회당 세탁비용, 그리고 안정성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1. 성능 평가 대상 세제 (총 12종)
소비자 보호원은 겔업, 노브랜드, 다우니, 리큐, 비트, 아토세이프, 액츠, 세제혁명, 커클랜드, 탐사, 테크, 퍼실 총 12개 브랜드의 세제에 대해 성능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출처 : 한국소비자원
2. 세척성능 우수 세제
세척성능은 ① 일상에서 쉽게 묻을 수 있는 기름, 흙 등의 오염, ② 얼룩이 쉽게 지워지지 않는 혈액, 잉크 등의 오염, ③ 인체에서 분비되는 피지 등의 오염으로 구분해 진행했고 3가지 세척성능에서 모두 우수를 획득한 제품은 다우니 세탁세제(냄새딥클린 프레시 클린)과 커클랜드 시그니춰 울트라 클린 리퀴드 런드리 디터전트 제품이었습니다. 그다음으로 우수를 많이 받은 세제는 리큐 진한겔 일반세탁기용입니다.
출처 : 한국소비자원
2. 1회당 세탁비용 비교
각 세제에 표시된 물 1리터당 세제의 권장사용량을 기준으로 1회당 세탁비용이 가장 낮은 제품은 겔업 액체세제와 노브랜드 세탁세제 4리터(일반/드럼겸용) 제품이었습니다. 세척성능과 1회당 세탁비용을 평가하여 소비자24에서 제시한 가성비 우수 제품은 리큐 진할겔 일반세탁기용(1회당 103원), 커클랜드 시그니춰 울트라 클린 (1회당 143원)입니다.
12개 세탁 세제 중 1회당 세탁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제품은 다우니 세탁세제(냄새딥클린 프레시 클린)으로 1회당 328원이었습니다. (이 제품은 세척성능 항목에서 모두 우수를 받음) 다우니와 함께 세척성능 모든 항목 우수를 받은 커클랜드 시그니춰 울트라 클린은 1회 세탁비용이 143원으로 다우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한국소비자원
3. 안정성
우선 유해물질 부분에서는 12개 제품 모두 환경부에서 고시한 기준에 적합했으며, 용기가 쉽게 파손되는지 여부인 용기 내구성에서도 모든 제품이 기준에 적합한 결과를 받았습니다. 알레르기 반응 가능물질 26개 성분에 대한 평가에서도 12개 제품 모두 기준에 적합함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요즘 물가가 많이 올라 생활하기 많이 힘든 시기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생활비를 줄이기도 어렵다 보니 내가 사용하는 무엇이든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써야 하는 세상이 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은 겨울철을 맞이해 가스보일러의 효율적인 사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가스비를 아끼기 위해 너무 복잡하고 세부적인 방법, 또는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것들은 제외했고 대신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낭비되는 부분들을 막기 위한 가스보일러 사용법입니다. 에너지공단 등 가스비 절약 방법 자료를 보고 제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한 항목만 정리했고 개인적인 생각도 조금 담았습니다.
우리집 온수 설정온도 (사실 오늘 알아보고 40도로 맞춤)
1. 가스보일러 온수 온도를 낮추세요.
가스비 낭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우가 온수 온도를 최대로 해놓고 온수를 튼 다음 너무 뜨거워서 수도밸브를 중간으로 돌리거나 찬물로 내리는 경우입니다. 가스보일러에 보시면 설정창이 있습니다. 온수 온도가 대부분 55도나 50도로 되어 있을 텐데요. 40도로 낮춰도 충분합니다.
40도로 하면 물을 더 데우기 위해 소비되는 가스도 절약되고 수도밸브를 온수로 틀었을때도 너무 뜨거워서 다시 낮추는 경우가 줄어들어 가스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아이들이 쓸 경우 온수에 의한 화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적정 온수온도 40도
2. 온수 사용 수도밸브를 꼭 냉수로 돌려 놓으세요.
이렇게 해야 온수 쪽으로 돌려진 밸브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보일러 공회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온수 사용후 수도밸브는 냉수 쪽으로 돌리기
3. 외출기능은 쓰는 게 낫다고 생각됩니다.
커뮤니티 보면 외출기능에 대한 효율성을 가지고 갑론을박이 있던데 저는 그냥 4계절 외출기능 쓰고 있습니다. 아이 때문에 여름에도 온수를 많이 쓰는 편이기도 하고, 귀찮게 관리하는 거 싫어하는 성격이라 계속 외출기능 씁니다. 그 덕분에 가장 더운 7월에 가스비가 1만8천원 나옵니다. (참고로 인덕션 씁니다. 가스는 오직 난방과 온수 몫입니다.)
에너지공단 겨울철 가스비 절약 가이드를 봐도 10시간 이내로 외출 후 귀가를 한다면 외출기능을 쓰는 게 좋다고 되어 있습니다. 당연한 말이겠지요. 집을 냉골로 만든 후에 포근한 온도까지 집 전체를 데우려면 가스비 소비가 어마어마할 거니깐요. 개인적으로 겨울철에 외출기능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는 집을 몇일씩 비우는데 날씨도 포근해지는 때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 아니면 그냥 외출기능 쓰시고 대신 보일러 쓰실 때 실내 온도를 20~24도 사이에서 사용하세요.
온도 범위가 크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건 집집마다 보일러 성능이 다르기 때문이고 너무 덥지 않게, 아주 약간 춥다고 느껴질 정도 범위에서 사용하신다면 가스비 폭탄을 맞을 일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가스보일러 실내 온도를 1도만 내려도 기존 가스비의 7% 정도를 더 절약한다고 합니다.
외출기능은 당연히 써야 합니다.온도 설정은 가스비 절약의 핵심이에요.습도는 그냥 신경 안쓰고 있습니다. 대신 화분 키워요.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약 1,100만명 이상이 사용 중인 대표 카드사 중 한 곳이다. 2001년 다이너스카드를 인수하여 현대카드로 사명을 바꾼 후 약 2년이 안되서 첫 출시한 현대카드M이 큰 성공을 거두며 현재까지 매년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드회사는 금융회사 특유의 딱딱하고 올드한 기업 이미지가 강한 편인데, 현대카드는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현대카드 컬쳐프로젝트 등 브랜딩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 타 카드사에 비해 다소 트렌디한 느낌을 갖고 있다. 현대카드 포인트 제도인 M포인트는 높은 적립율과 활용도, 사용 편리성이 좋은 편이라 상당히 성공한 포인트 중 하나로 속한다.
현대카드 고객센터 : 1577-6000
현대카드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1577-6000 입니다.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상담원과 전화 연결 가능합니다. 누르는 ARS 대신 말하는 ARS로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 "M 포인트 조회해주세요, 카드 분실했어요, 한도 올려주세요, 이번 달 결제대금 알려주세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