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얼라이먼트란 (Wheel Alignment)
휠 얼라이먼트 또는 타이어 얼라이먼트라고 불리는 이 작업은 실제로 타이어나 휠 자체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이 바퀴와 연결되는 구조를 조정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얼라이먼트 작업의 목적은 노면에 타이어를 정상적으로 접지시켜 주행 및 조향 안전성을 유지하고 타이어 마모를 감소시켜 수명과 성능 향상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만약 접촉사고로 얼라이먼트가 틀어진 상태로 계속 주행을 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타이어는 노면과 비정상적인 접지로 불규칙한 마모가 발생될 것이고 그립력이 약해진 타이어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조향으로 발생되는 슬립에 매우 취약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또 타이어 자체의 기대 수명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조향한 각도보다 차가 덜 꺾인다던지 하는 조향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얼라이먼트 (Alignment) 3가지 요소
TOE
차량을 위에서 내려다봤을 때 바퀴 앞쪽이 차량 안쪽으로 모여 있거나 (Toe-In), 반대로 바깥족으로 벌어져 있는 경우 (Toe-Out) 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Toe-In 상태일 경우 바퀴의 바깥쪽 부분이 좀 더 심하게 마모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Toe-Out 상태일 경우 타이어 안쪽의 마모가 더 심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두 경우 모두 동일하게 얼라이먼트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AMBER
차량을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바퀴 위쪽이 차량 안쪽으로 쏠렸는지 (Negative Camber) 아니면 바깥쪽으로 쏠렸는지 (Positive Camber) 에 대한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바깥쪽으로 쏠렸을 경우 타이어 바깥쪽 마모가 심해지며 바퀴가 안쪽으로 쏠렸을 경우 타이어의 안쪽 마모가 심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또 양 바퀴의 캠버 각도 차이가 심할 경우 차량이 특정 방향으로 쏠리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CASTER
차량을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앞바퀴의 스티어링 축이 되는 위쪽 볼조인트와 아래쪽 볼조인트의 센터라인이 가상으로 그은 수직 라인에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수직 라인에서 운전자 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Positive Caster 라고 부르고 차량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Negative Caster 라고 부릅니다. 만약 앞 두 바퀴의 캐스터가 서로 차이가 날 경우 차량은 Positive Caster 가 덜 한 바퀴 방향으로 주행 시 기울게 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두 바퀴의 캐스터가 동일하지만 Negative Caster 일 경우 핸들이 가볍게 느껴지고 주행 시 직진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대로 Positive Caster 일 경우 조향 시 핸들이 무거운 느낌을 받게 됩니다. 캐스터의 상태는 타이어 마모와는 관련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얼라이먼트는 언제 꼭 받아야 할까
얼라이먼트는 다음에 오는 4가지 경우가 심하다고 느껴질 때 정비를 받아 보는 것이 좋은데, 1) 타이어 마모가 균일하지 않을 때 2) 차량이 주행 시 한쪽으로 쏠릴 때 3) 직진 주행인데 핸들은 센터라인을 눈에 띄게 벗어나 있을 때 4) 핸들이 떨릴 때입니다. 그리고 만약 얼라이먼트를 받을 예정이라면 비용보다는 얼라이먼트를 전문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곳이 어딘가를 우선 찾아 보신 후에 비용에 대한 비교를 하시는 게 차량의 안전을 담보로 하는 얼라이먼트 특성상 우선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소형 전기차 비교 (미니쿠퍼 SE, 스마트 EQ 포투, 폭스바겐 e-UP) (0) | 2019.11.03 |
---|---|
앞 바퀴 타이어만 마모가 심할 경우 타이어 교체 방법 (타이어 앞뒤 위치교환을 안 했을 때 마모 차이) (0) | 2019.10.11 |
SAE 자율주행기술 레벨 정의 (아우디, 현대, 테슬라의 자율주행기술 레벨은?) (0) | 2019.09.29 |
(해외 리뷰) 2016년 당시 테슬라 오너의 모델 S 솔직 리뷰 (1) | 2019.09.15 |
테슬라 모델 3의 자율 주행 능력은? (운전대를 놓지 말아야 할 이유) (0) | 2019.09.13 |